어린이교회1
•홈  >  세움공동체  >  어린이교회1

21세기는 정말 예측할 수 없는 변화들이 일어날 것입니다.

꿈이 없는 사람에게 미래란 없습니다. 꿈이 없는 교회에 다음 세대는 없습니다. 꿈은 개인이나 교회나 국가에도 참으로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올바른 꿈을 갖는 것입니다. 건강한 신앙과 꿈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녀들을 만들기 위해서 자녀들의 영혼과 전인적인 교육문제를 학교에만 맡길 수는 없습니다.
현대교회는 우리의 자녀들이 건강한 꿈의 사람이 되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하나님께 너무나도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교육은 통합적인 성격이 있습니다. 교육은 종합 예술과도 같다는 말입니다. ▶more

21세기는 정말 예측할 수 없는 변화들이 일어날 것입니다.

꿈이 없는 사람에게 미래란 없습니다. 꿈이 없는 교회에 다음 세대는 없습니다. 꿈은 개인이나 교회나 국가에도 참으로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올바른 꿈을 갖는 것입니다. 건강한 신앙과 꿈을 가지고 살아가는 자녀들을 만들기 위해서 자녀들의 영혼과 전인적인 교육문제를 학교에만 맡길 수는 없습니다.
현대교회는 우리의 자녀들이 건강한 꿈의 사람이 되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하나님께 너무나도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교육은 통합적인 성격이 있습니다. 교육은 종합 예술과도 같다는 말입니다. 좋은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자의 인격과 지식, 그리고 교육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현대교회는 이러한 조건을 갖춘 교사들이 헌신하고 있습니다. 교사들의 인격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헌신된 교사들은 최선을 다하여 어린이들을 섬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활력있고,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댁의 자녀들을 맡겨주십시오.

▣ 현대교회 어린이 교회학교는

영혼이 있는 삶을 가르칩니다.
진리와 사랑을 가르칩니다.
윤리와 도덕을 알려줍니다.
하나님 사랑과 부모존경, 이웃 사랑을 가르칩니다.
순종과 희생을 가르칩니다.

잘 교육되고 훈련된 교사들이 있습니다.

현대교회 교회학교장 박행신목사

 "

목록보기

  제  목 : [RE]원고쓰기 2 조회수 : 2963
  작성자 : 김현정 작성일 : 2005-08-13
1.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다.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씀을 원칙으로 한다. ※ 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2.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 문단의 시작을 의미한다.
(줄의 맨 끝이 비워야 할 차례인데 비울 칸이 없을 경우 → 다음 줄 첫 칸을 비워서는 안 되며, 이런 경우
줄의 맨 끝에 띄어쓰기 표(∨)를 질러 띄는 곳임을 표시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메워 쓴다.)

3. 띄어쓰기는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지켜져야 하며, 문장 부호 다음에도 한 칸을 비우는 것이 원칙이나 반점( , )과 온점( . ) 다음에는 관습상 한 칸을 비우지 않는다.

4.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칸의 한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온점( . ), 반점( , )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쓴다.

5. 부호가 찍혀야 할 자리에서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갈 경우, 그 부호를 다음 줄 첫 칸으로 넘기지
말고, 마지막 칸 속에 함께 표시해 준다. 이것은 줄 첫머리가 ( . ), ( , )로 시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6. 대화는 줄을 바꾸어 쓰되 큰따옴표( )를 붙인다. 줄의 첫칸을 비우고, 둘째 칸에 따옴표가 오게 한다.

7. 긴 인용문은 6)의 경우(대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다.
※ 의존 명사는 반드시 띄어쓰기
∨바는, ∨줄을, 할∨것이다, ∨데가, 할∨만큼 등

++++++++++++++++++++++++++++++++++++++++++++++++++++++


제1절 원고지의 첫머리 쓰기
원고지의 첫머리에는 글의 종별, 제목 및 부제, 소속과 성명 등을 용지 첫 장의 처음에 쓴다

1. 글의 "종별" 쓰기

원고지 1행의 두 칸부터 글의 종별을 쓴다. 예를 들어 시면 <시>라고 쓰고, 그밖에는 <소설>, <희곡>, <수필>,<기행문>이라고 표시한다. 간혹 글의 종별 표시 없이 비워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원고지
사용법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2. "제목"과 "부제"쓰기
가. 제목은 2행 중심부에 쓰되, 만약 제목이 두서너 자일 때에는 두어 칸씩 벌려 써서 미적 조화를 이룬다.
<참고> 제목의 글자도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간혹 행과 행에 걸쳐서 적거나 두 행을 잡아 크게 적기도 하는데 그것은 인쇄되는 출판물에서 비롯되는 잘못이다.

나. 제목을 쓸 때에는 문장 부호에 유의한다

ㄱ. 마침표는 찍지 않는다.
ㄴ. 물음표와 느낌표는 가급적 붙이지 않도록 한다.
ㄷ. 같은 계열의 단어가 열거될 때에는 쉼표 대신 가운뎃점을 쓴다.
ㄹ. 줄임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 제목이 길 때에는 두 행을 잡아 쓴다. 이때에도 두 행 중 첫 행은 좌측으로, 둘째 행은 우측으로 치우쳐 쓴다.

라. "부제"가 있으면 본제목 아랫줄에 쓰되 양 끝에 줄표(-)를 표시한다.


3. "소속"과 "성명" 쓰기
소속과 성명은 원칙적으로 제목 아래의 1행을 비우고 난 뒤 4행부터 쓰는 것이나 소속은 3행에 성명은 4행에 오른쪽으로 치우쳐 쓰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가. 소속의 끝자는 3칸을 성명은 2칸을 소속 다음 행에 끝에서 비우고 쓴다.
<참고> 성과 이름을 붙여 쓴다. 다만, 성과 이름을 분명히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나. 성명의 각 글자 사이는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널찍이 한 두 칸 씩 띄어 써도 무방하다.
<참고> 소속 없이 성명만 적거나 소속, 성명을 한 줄에 적는 경우에는 제목 아래 한 줄을 비워 답답하지 않게 한다.


제2절 원고지의 본문 쓰기

1. 글자는 한 칸에 1자씩 쓴다
원고 용지의 한 칸에 한 자씩만 쓴다. 칸을 무시하고 한 칸에 두 자씩 쓴다던가 또는 두 칸에 석 자씩 쓰게 된다면 원고지를 쓰는 뜻이 무시된다.


2. 숫자와 알파베트 쓰기
가. 로마 숫자, 알파베트 대문자 그리고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베트 소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참고> 분수는 사선을 그어 나란히 쓰는 방법도 있지만, 원고지에서는 다소 불편하더라도 일상의 습관처럼 위아래로 적는 것이 자연스럽고 혼동이 적다.

나. 두 자 이상의 아라비아 숫자나 알파베트 소문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3. 앞 칸 비우기
가. 글을 처음 시작할 때, 단락이 바뀔 때마다 그 행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쓴다.

나. 대화는 행을 바꾸어 쓰되 전체 내용을 첫 칸은 비우고 둘째 칸부터 따

 "

전체댓글 0

댓글 쓰기0/200
입력
  이전글 : 8월14일 찬양
  다음글 : [동영상] 강아지 똥
이전글 다음글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