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변경된 일정과 미리 공부할 내용입니다. | 조회수 : 2819 |
작성자 : 박행신 | 작성일 : 2008-10-02 |
화요일
이천 3시→ 청도 → 운강고택 → 만화정 → 장연사 3충석탑 → 청도석빙고 → 창녕 → 창녕 교동고분군 → 신라 진흥왕 척경비 → 대원군척화비 → 창녕객사 → 창녕석빙고 → 달성 → 도동서원 → 태고정과 육신사 → 삼가헌과 하엽정 → 칠곡 → 가산산성
* 운강고택(중요민속자료 106호): 대대로 밀양 박씨들이 살아온 곳
* 만화정: 운강이 지은 경치가 뛰어난 별서로 현판이 20개도 넘게 걸려있다.
* 장연사 3충석탑(보물 677호): 장수골의 감나무(청도 반시) 밭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삼충 석탑
* 청도석빙고(보물 제323호): 골격만 남아 석빙고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 창녕 교동고분군(사적 제 80호): 수십 기의 삼국시대의 고분들이 모여 있는 곳
* 창녕 신라진흥왕 척경비(국보 제33호): 진흥왕이 민심을 살핀 후 세운 기념비
* 창녕 척화비: 대원군이 세운 척화비이다.
* 창녕객사(경남유형문화재 제231호): 관아의 건축물
* 창녕석빙고(보물 제310호): 완벽하게 보존된 조선시대의 냉장고
* 도동서원: 한훤당 김굉필을 배향한 서원(지방대학)
* 태고정(보물 제554호)과 육신사: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곳
* 삼가헌과 하엽정: 박팽년의 11대손 박성수가 지은 집과 정자
* 가산산성(사적 제216호): 인조17년에 경상도 관찰사 이명웅이 쌓은 석축산성
미리 공부해 보세요.
- 신라 진흥왕은 척경비를 어디어디에 세웠나요?
- 대원군 척화비에는 뭐라고 써 있을까요? 그리고 그 뜻은 무엇일까요?
- 사육신과 생육신은 어떻게 다를까요?
- 성삼문의 다음 시조를 외워보세요.
이 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하리라
수요일
송림사 → 다부전적기념관 → 안동 → 삼구정 → 부용대 → 겸암정 → 옥연정 → 하회마을(양진당, 충효당, 북촌댁, 남촌댁, 만송정) → 병산서원 → 신세동 7층 전탑 → 임청각 → 동부동 모전탑 → 운흥동 당간지주 → 봉정사 → 간재종택
* 송림사와 5층 전탑(보물 제189호): 아름다운 전탑이 자리잡고 있는 신라시대의 사찰
* 다부전적기념관: 6.25 전쟁중에 엄청난 희생을 치른 낙동강 전선에 세운 기념관
* 삼구정(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9호): 화산 김세경이 노모를 위해서 지은 아름다운 정자
* 부용대: 하회마을은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64m 높이의 절벽
* 겸암정(중요민속자료 제89호): 류운룡이 머물면서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던 곳
* 옥연정: 서애 류성룡선생이 노후에 학문을 닦고자 지은 정자
* 하회마을(중요민속자료 제122호): 풍산 류씨들이 모여 사는 동족마을
양진당(보물 306호), 충효당(보물 414호),
북촌댁(중요민속자료 제84호), 남촌댁(중요민속자료 제90호), 만송정
* 병산서원(사적 제260호): 서예 류성룡과 그의 아들 류진을 배향한 서원
* 신세동 7층 전탑(국보 제16호):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전탑
* 고성이씨 대종택 임청각(중요민속자료 제185호): 독립운동으로 인한 아픈 기억을 간직한 고택
* 동부동 모전탑(보물 제56호): 벽돌을 차곡차곡 쌓아 만든 전탑
* 운흥동 당간지주(경상북도 유형문화제 제100호): 높이 2.6m의 간결하고 소박한 당간지주
*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 우리나라의 목조건물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
* 간재종택: 조선중기 학자인 간재 변중일의 종택과 정자
미리 공부해 보세요.
- 탑의 종류에는 전탑, 목탑, 모전탑, 석탑이 있는데, 그 재료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각 종류를 대표하는 탑을 하나씩 찾아보세요.
- 6.25전쟁은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났나요?
- 우리나라를 돕기 위해서 군대를 파병한 유엔 16개국은 어디인가요?
- 서애 류성룡 선생님은 어느 시대의 사람인가요?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은 무엇이며, 언제 지어졌나요?
목요일
퇴계태실 → 이육사생가터 → 퇴계종택 → 산림과학박물관 → 유교문화박물관 → 도산서원 → 봉화 → 닭실마을과 권충재유적 → 청암정 → 영주 → 부석사 → 봉서루 → 청다리 → 금성단 → 소수서원 → 선비촌 → 읍내리 벽화고분 → 이천(7시30분)
* 이육사생가터(경상북도민속자료 제10호): <광야> <청포도> 등으로 유명한 시인
* 퇴계 종택(경상북도기념물 제42호): 진성 이씨의 대종택
* 퇴계태실: 퇴계 이황이 태어난 집
* 산림과학박물관: 산림문화에 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박물관
* 유교문화박물관: 우리의 전통문화인 유교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박물관
* 도산서원(사적 제170호): 영남 사림의 중심이자 퇴계 이황을 모신 서원
* 닭실마을과 권충재유적, 청암정(사적 및 명승 3호): 충재 권벌과 관련된 아름다운 유적지
* 부석사: 신라 의상대사에 의해 세워진 화엄종찰
부석사 3층 석탑 (보물 제249호), 당간지주 (보물 제255호)
무량수전 (국보 제18호), 석등 (국보 제17호), 조사당 (국보 제19호)
* 봉서루(경북문화재자료 제418호): 흥주 도호부 관아의 정문으로 현판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이다.
* 청다리: “너는 다리 빝에서 주워왔다”는 말이 처음 생겨난 다리
* 금성단(경북기념물 제93호): 세조 때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화를 당한 금성대군을 기리는 곳
* 소수서원(사적 제55호): 중종 37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
숙수사터 당간지주 (보물 제59호),
안향의 영정 (국보 제111호), 주세붕 영정 (보물 제717호)
* 선비촌: 조선시대의 선비정신을 기리기 위해서 복원한 마을
* 읍내리 벽화고분(사적 제313호): 한강 이남에 자리잡은 유일한 고구려 고분
미리 공부해 보세요.
- 이육사 선생님의 <광야>나 <청포도>를 외워보세요.
- 퇴계선생님의 진짜 이름을 알아보고, 무슨 일을 하신 분인지 조사해보세요.
- 유교란 어떤 종교인가요?
- 불교에서 화엄종이란 무엇일까요?
- 도산서원은 누가 세웠을까요?
-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소수서원은 누가 세웠으며, 누구를 모신 서원인가요?
"
전체댓글 0
이전글 : 김효선신청합니다 | |
다음글 : 5학년 배혁진신청합니다.(2차) | |
이전글 다음글 | 목록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