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목록보기

  제  목 : 2012년에 지구가 멸망할 것이라는 예언에 대해서 조회수 : 2472
  작성자 : 박행신 작성일 : 2009-10-25

요즘,
어린아이들과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2012년에 태양보다 큰 행성이 지구와 충돌해서 지구가 멸망할 것이라는 유언비어가 나돌고 있습니다.

이것은 9월6일 방영된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 - 2012" 때문인데, 이날 방송에서는 지구 종말론에 대해서 마야달력, 중국의 주역, 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 심지어 컴퓨터 프로그램(웹봇)까지 지구종말을 예언하고 있는 것으로 방송했습니다. 특히 일본 고베 대학 "무카이 다다시 교수 팀"은 태양계 카이퍼 벨트지역에 10번째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후 이 주장에 동의하는 일부 천문학자들은 "10"을 나타내는 로마 숫자 X를 따서 행성x라고 명명했다고 방송에서 밝힌 것이지요.

이들은 한결같이 머지 않은 시점에 행성x 가 지구에 근접하거나 지구와 충돌할 것"이라고 주장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덧붙였고, 또 방송에서는 고대 마야력에서 예언한 2012년 12월21일 지구종말, 파푸아 뉴기니의 후리족의 전설 등으로 종말론을 설명했지요.

한편 이날 방송을 시청한 시청자들은 정확한 근거와 결과를 예상하지 못하면서도 해외 다큐멘터리를 짜집기 해 불안감만 조성하고 있다며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고, 이런 불안감은 어린이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증폭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인식박사(과학문화연구소장·KAIST겸임교수)의 글을 참고자료로 올립니다.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시고 참고하세요.


날마다 수많은 별똥(운석)이 밤하늘을 가로지르며 지구로 떨어지고 있다. 운석은 끊임없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상처를 남긴다. 지구 표면에는 150개 정도의 거대한 운석 구멍이 흩어져 있다. 가장 유명한 운석 자국은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서 발견된 지름 195㎞의 구덩이이다.

1908년 6월 시베리아의 외딴 지역인 퉁구스카에서 운석 충돌 사건이 발생했다. 지름 60m의 운석이 약 10㎞ 높이의 상공에서 폭발해 거대한 불덩어리가 뉴욕 시 면적만한 숲을 태우고 순록을 몰살했다. 만일 같은 일이 모스크바에서 일어났다면 수백만명의 목숨이 사라졌을 것이다.

2008년 "네이처" 6월 26일자에 실린 논문에서 미국 우주과학자들은 퉁구스카 사건과 비슷한 충돌은 500년에 한 번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시 말해 앞으로 50년 안에 그런 운석 충돌이 일어날 확률은 10%라는 뜻이다.

지구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것은 물론 소행성이다. 그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미확인 상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부는 매년 달만큼이나 가까운 거리에서 지구를 지나치고 있으므로 지구는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네거리 한가운데 서 있는 사람처럼 위험한 상태이다. 2000년 8월 완성된 영국 정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가 소행성과 충돌해 우리가 죽게 될 확률은 하늘에서 타고 있던 비행기의 충돌 사고로 숨질 확률과 동일하다.

지름 100m짜리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 대도시를 순식간에 폐허로 만들 수 있다. 지름 1㎞짜리는 원자폭탄 1000만개의 위력을 발휘해 지구 전체에 피해를 안겨줄 수 있다. 지름 100m 정도 소행성은 10만개, 1㎞ 이상 되는 것은 1000~2000개가 있으며 대부분 확인되지 않은 상태인 터라 지구의 안전에 적신호가 켜져 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소행성과의 충돌을 모면하는 방법을 궁리하고 있다. 두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나는 소행성을 폭파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주는 방법이다. 작은 소행성은 영화 "아마겟돈"(1998)에서처럼 핵폭탄이 탑재된 로켓을 발사해 폭파시키고, 큰 소행성은 영화 "딥 임팩트"(1998)에서처럼 우주선을 발사해 진로를 바꿔주면 충돌에 따른 지구의 재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소행성 파괴보다 궤도 수정 쪽이 실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구에 근접하는 소행성의 속도가 워낙 빨라 소행성을 요격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주는 기술은 2005년 미국 항공우주국의 "딥 임팩트 프로젝트" 성공으로 그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이런 몇 가지 방법으로 인류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은 없을 터이다. 2008년 12월 미국 공군이 처음으로 전문가들을 초빙해 소행성 충돌에 대처하는 능력을 점검한 것도 그 때문이다. 결론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때 속수무책이라는 것이다. 영국 주간지 "뉴 사이언티스트" 9월 26일자 커버스토리는 소행성 충돌에 대비하여 조기 경보 체제를 강구할 것을 주문했다.


유성충돌과 관련해서는 <딥 임펙트>나 <아마겟돈>과 같은 영화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것 같네요.


 "

전체댓글 0

댓글 쓰기0/200
입력
  이전글 : [RE]네, 수정하였습니다.
  다음글 : 성경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