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선교
•홈  >  사역  >  국내외선교

구제사역을 위한 현대교회의 중요한 철학은 “모든 사람이 하나님께 중요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출발합니다. “여호와는 마음이 상한 자에게 가까이 하시고 중심에 통화하는 자를 구원”하십니다.(시편34:18) 그러므로 교회는 당연히 거룩하신 하나님의 사랑의 손길이 되어서 마음이 상한 자에게 가까지 다가가야 합니다. 사람들은 현명하지 못한 선택이나 삶의 원칙에서 벗어난 무지, 개인적인 죄, 타고난 환경 또는 영적인 연단으로 가난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유야 어떻든 하나님은 교회를 부르시고, 교회로 하여금 곤궁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치유와 구원의 매개체로 삼으셨습니다. ▶more

구제사역을 위한 현대교회의 중요한 철학은 “모든 사람이 하나님께 중요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출발합니다. “여호와는 마음이 상한 자에게 가까이 하시고 중심에 통화하는 자를 구원”하십니다.(시편34:18) 그러므로 교회는 당연히 거룩하신 하나님의 사랑의 손길이 되어서 마음이 상한 자에게 가까지 다가가야 합니다. 사람들은 현명하지 못한 선택이나 삶의 원칙에서 벗어난 무지, 개인적인 죄, 타고난 환경 또는 영적인 연단으로 가난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유야 어떻든 하나님은 교회를 부르시고, 교회로 하여금 곤궁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치유와 구원의 매개체로 삼으셨습니다.

물론 교회는 복지기관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질적인 보조를 넘어서는 교회의 지속적인 지원은 사람들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게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성경전체를 통해서 이 일을 명 하셨음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당연이 사랑의 실천과 복음전파를 위하여 지속적인 사역을 감당해야 합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요청에 따라 현대교회는 다양한 모습으로 국내 사역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장학사업

우리 교회에서는 1997년 11월 IMF 외환위기가 시작 된 다음 해인 1998년부터 5명의 학생을 선발하여 개인당 년간 1,000,000만원의 장학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공동체의 구호와는 다른 개념의 구호 및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영적 돌봄의 개념을 가지고 시작된 것인데,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구제사업

현대교회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프로그램의 가치와 효과를 확신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손길을 통해서 연약한 사람들이 도움을 받고, 삶의 의미를 새롭게 회복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서 개인적으로 그리스도를 만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는 확신 가운데 다양한 개인 및 공동체 구제사역을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기관선교

현대교회의 선교와 구제의 방향은 다양한 기관을 돕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륙복지회, 보육원, 고아원, 교도소, KNCC, 호스피스사역, 원로목사회, 장애인 복지시설, 그리고 오지지역 어린이초청프로그램 등이 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기관사역이 수시로 펼쳐지고 있습니다.

 

 미자립교회

현대교회는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다가가서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회를 돕습니다. 농촌지역의 미자립교회나 새로 설립되어 복음 전파와 그리스도의 제자를 만들기 위하여 헌신된 교회들을 돕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은 물질적인 후원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정보의 공유, 프로그램의 지원 및 인적 자원의 교류 등을 통해서 그들을 섬기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습니다.

주님의 지상사역은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는 명령과 함께 마무리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선교는 우리가 감당해야 할 중요한 지상 과제입니다. 현대교회는 선교 사명의 중요성을 깊이 깨닫고 선교에 정성을 쏟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선교사를 후원하는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VISION 2010을 실천하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의 선교사역들이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more

 중국   일본   사이판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대륙복지회

주님의 지상사역은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는 명령과 함께 마무리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선교는 우리가 감당해야 할 중요한 지상 과제입니다. 현대교회는 선교 사명의 중요성을 깊이 깨닫고 선교에 정성을 쏟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선교사를 후원하는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VISION 2010을 실천하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의 선교사역들이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특히 21세기의 주역이 될 중국 선교는 중요합니다. 지금 중국의 영적인 공황상태에 있습니다. 50여 년간 지속된 중국 공산당의 지배는 중국 내의 모든 종교를 말살하였기 때문에, 중국은 종교적 불모지가 되었습니다. 그런 가운데서도 지하로 숨어든 기독교는 세계선교 역사상 그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하였습니다. 이제는 이들을 기반으로 하여 중국을 복음화 하려는 다양한 움직임들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 교회는 이러한 움직임이 발맞추어 중국 복음화를 위해서 헌신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제3세계를 향한 한국교회의 활발한 사역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구제활동을 확대시키는 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 일의 중요성을 깨달아 우리 교회도 동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파송된 선교사들과 그들의 사역을 돕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교회는 ‘Loving Care by Open Church’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해외선교에 주력할 것입니다.

 

 Asiafricare(Asia와 africa)

아시아와 아프리카」선교는 우리의 책임입니다.
세계의 총인구 60억
기독교인수 12억 복음이 들어간 수 12억
한번도 복음을 접하지 못한 사람인구 40억

 

 현대교회는 향후 20년간은 아시아 아프리카선교(Asiafricare)에 주력합니다.

Asiafrica는
▣세계 제일의 극빈국입니다.
▣ 인구의 80% 이상이 영양실조와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 온갖 우상숭배와 가치관의 타락에 썩어가고 있습니다.

 

 우리의 책임입니다.

현대교회는 2010년까지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역하는 20명의 선교사를 도울 계획입니다. 이 지역의 주요 도시마다 교회를 세우는 것이 우리의 꿈입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우리가 돌보아야 합니다.

 "

목록보기

  제  목 : [인도네시아] 김영숙 선교사 기도 편지 조회수 : 2914
  작성자 : 현대교회 작성일 : 2003-11-27
2003년 11월 25일(화)

변하고 있는 바탐 섬, 하리 라야(Hari Raya)에

바탐(BATAM)섬은 최근들어 더 많은 건물과 집들이 지어졌고, 교통 수단의 하나인 오토바이(오젝 ojek 이라고 불림)도 날이 갈수록 늘어가서 사고도 많이 나고 있습니다. 며칠 전, 학생 중의 한 명이 오토바이끼리 부딪치는 바람에 머리를 다쳐 2일 이상 의식이 없다가 하나님의 은혜로 겨우 의식을 회복한 일도 있었습니다. 정말 이곳은 너무나 복잡해져서 처음 왔을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질서가 없는 복잡함. 그러면서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는 것은 교회라기 보다는 (최근들어 교회는 늘어날만큼 늘어난 것 같습니다)중국 절과 이슬람 사원입니다. 이슬람 사원은 동네가 형성되면 당연히 들어서는 것이지만, 중국사람들이 지성으로 섬기는 중국 절은 시간이 갈수록 규모가 커지고 있고 여기저기 중국인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또 다른 신흥종교가 들어서고 있습니다. 요즈음 바탐 섬을 보고 있노라면 영적인 세력은 이슬람이라기 보다는 중국인들이 신봉하는 교(유교를 말하는 콩후추 Konghucu와 Maitreya 즉 미륵불 사상)라고 생각을 합니다.
오늘은 이 곳의 큰 명절입니다. 그동안 30일 동안의 이슬람 금식 기도가 끝나고 공식적인 큰 명절인 ‘르바란 Lebaran’으로 우리나라의 설날처럼 성대하게 치루어집니다. 어디나 고향으로 내려가는 사람들로 붐비지요. 어제 저녁부터 이슬람 사원에서는 금식의 마지막을 장식하면서 밤새 기도를 하는지 멈추지를 않았습니다. 그들의 의식은 ‘하리 라야’인 오늘 아침 7시까지 계속되었는데 저는 자다가 여러번 깼습니다. 급기야는 일어나서 기도를 했습니다. 분명히 예전과는 다른 양상입니다. 바탐 섬은 그래도 외국인(특히 중국사람)이 많이 살고 금식 기도를 지키지만 그렇게 요란하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금식 끝나는 날 밤에는 늦게까지 사원에 모여 행사를 하고 모든 내용이 확성기를 통해 들리도록 합니다. 그런데 올 해는 한 번도 쉬지않고 꼬박 날을 새며 기도와 코란을 읽는 것이었습니다. 최근 변하는 세계의 정서와도 무관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는 소리가 계속해서 그것도 소리 공해로 온 지역을 덮을 때는 영적 전쟁이 따로 없다는 생각 뿐입니다.

앞으로 이 곳의 영적 세력은 점점 더 해질 것 같습니다. 계속 규모가 커지는 이슬람 사원과 이단 불교 사원 앞에서, 교회는 숫자는 많지만 건물로는 비교할 수도 없고 오직 더 많은 기도와 영적 예민함이 필요할 때인 것 같습니다.

조용했던 거리에 오전 8시가 넘으니 가족끼리 서로 방문하며 나들이 하는 모습들, 나팔을 불며 ‘하리 라야’를 축하하는 모습들이 보입니다. 오후가 될수록 더 복잡해지리라 생각을 합니다. 하늘에 검은 구름이 밀려드는 것을 보니 한바탕 쏟아질 것 같은 날씨입니다.

바탐 신학교

11월 28일에 개척 교회를 돕는 성탄 행사를 끝으로 다시 긴 방학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58명이 이 번 학기 끝까지 남아 마무리를 했습니다. 보통 학기 초에 들어와 끝까지 가는 것이 그들에게는 여간한 인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더우기 2년 동안 직장을 다니면서 공부를 한다는 것도 쉽지는 않지요. 어쨌든 내년에는 바탐 신학교도 어떤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기에 기도하며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성탄 예배를 통해 어려운 교회가 힘을 얻고 교회학교 어린이들이 확실하게 복음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기도해 주세요.
수마트라 북쪽으로 떠납니다

그동안 마음의 부담으로 남아있던 수마트라 종족 조사 survey는 12월 24일부터 2004년 1월 3일까지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수마트라에는 바탁 batak 종족과 까로 karo 종족이 대부분인데 그 중에 까로 종족은 복음이 많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번에 현지 목사의 안내를 받아 까로 종족이 있는 마을로 들어가 survey를 할 예정입니다. 그 외에도 우리 바탐 신학교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을 돌면서 복음의 필요성과 종족을 살필 예정입니다. 깊은 지역은 과거 한국처럼 혼합주의에 정령 숭배가 대부분이고, 교회를 다닌다고 하지만 그들이 믿는 하나님은 여전히 무당을 찾는 미신적인 하나님인 것이지요. 이 번 수마트라 여행이 그리 간단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꼭 기도를 부탁드립니다.

중보기도

1. 일정동안 주님께서 성실한 현지 안내자들을 붙여주시고 꼭 보아야 할 곳을 보고 그 곳에 복음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길을 열어주시도록

2. 한국에서 촬영 도우미로 염광교회 이신일 형제와 이곳에서는 바탐 신학교 졸업생인 사라 자매와 동행을 합니다. 교통편을 위해 특히 바탐에서 갈 때는 배를 이용하는데 19시간이 걸립니다. 배시간이 변

 "

전체댓글 0

댓글 쓰기0/200
입력
  이전글 : [필리핀] 필리핀 선교 편지
  다음글 : [필리핀] 필리핀 선교 편지
이전글 다음글 목록보기